관리 메뉴

침묵의 속삭임 (한국 문인협회,한울 문학 회원)

클래식 음악의 제목을 읽는 방법 본문

나의 이야기

클래식 음악의 제목을 읽는 방법

미쁘미 2012. 7. 13. 07:54

1 ,일반적으로(항상 그런건 아닙니다)조성의 경우 대문자로 쓰면 장조,소문자로 쓰면 단조 입니다

In C 의 경우는 다 장조 in c의 경우는 다 단조 입니다

 

2,OP.는 작품 번호로 번역되고 보통은 그냥 "오피"라고 읽습니다만, 작품 번호라고 읽어도 괜찮습니다

NO,의경우는 같은 형식의 곡을 여러곡 썻을때 붙인 번호로 보통"제X번 "이라 읽습니다

교향곡 제5번 피아노 협주곡 제21번 같은 경우가 NO.로 표기된 숫자글입니다.

두번호가 다른걸 의미하므로 둘 다 읽어 주어야 되죠.

 

예를 들어 "Beethovn Symphony No. 9 in D minor. Op125" 같은 경우는

"베토벤 교향곡 제 9번 작품번호 125"이라고 읽으시면 됩니다.

 

유명한 합창곡이죠.

작품번호에 해당되는 Op.는 특정 작곡가의 경우 다른 번호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흐는BWV(바흐작품번호), 헨델은HWV(헨델작품번호), 하이든은 Hob, 모짜르트는K(KV),(쾌헬번호 )리스트는 S,

비발디RV,슈베르트D(도이치 넘버)등 다양 합니다

이런 작품 반호는 주로 알파벳을 그대로 읽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르게 읽는 방법은 괄호 안에 써 놨습니다

 

3 위에 베토벤 합창 예를 들어 놓은것 처럼 읽으면 됩니다 .

 

주로 곡의 형식/형식에 따른번호(No.)/조성/작품번호/ 부제/악장/빠르기 말/순서로 읽습니다

위의 요소중 몇개는 없는 경우도 있으나 저 순서대로 읽으면 큰 문제는 없을 겁니다 .

"Symphony no. 6 b minor, Op 74"Pathetique"

이건 "교향곡 제 6번 나 단조 작품번호 74 비창"입니다 차이코프스키 작품이죠.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서객 차량  (0) 2012.07.21
[스크랩] 사랑하는 친구가 보내온 메일 ~ (침 묵)  (0) 2012.07.17
여주(비터멜론) 꽃 향기  (0) 2012.07.12
백일홍  (0) 2012.07.09
새삼, 토사자  (0) 2012.06.24
Comments